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

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콘텐츠 영역

업무 과실로 개인정보 유출된 사례

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 ③

글자크기 설정
인쇄하기 목록

업무 과실로 개인정보 유출된 사례

  • 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③-업무과실편 하단내용 참조
  • 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③-업무과실편 하단내용 참조
  • 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③-업무과실편 하단내용 참조
  • 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③-업무과실편 하단내용 참조
  • 2024년 유출신고 동향 분석③-업무과실편 하단내용 참조

업무과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세부 유형을 분석하면,

개인정보 파일 게시(30%),
이메일 동보 발송(11%),
개인정보 파일 오첨부(8%).

<업무 과실 세부 형태>
개인정보 파일 게시 30%
이메일 동보 발송 11%
기타(개인정보 서류, 문자 오발송 등) 11%
개인정보 파일(서류) 분실 8%
이동형 저장매체 분실 7%
개인정보 파일 오발송 6%
이메일 오발송 4%
이메일 및 공문 내 개인정보 파일 첨부 8%
개인정보 마스킹 미처리 4%
개인정보 미파기 4%
접근통제 미설정 3%
권한 없는 자에게 개인정보 처리 4%

※ 본 통계는 신고 당시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,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1. 홈페이지 게시판에 개인정보 업로드 사례
홈페이지 게시판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게시하여 유출.

<예방·대응>
· 파일 첨부 시 개인정보 포함 여부 알림 및 경고 표시기능 추가.
· 파일 업로드 후 다시 한번 정상적인 파일이 업로드되었는지 확인.

2. 이메일 오발송·동보발송 사례
개인정보를 다수에게 이메일 등으로 동보발송하거나, 이메일 주소 등을 잘못 기재하여 다른 사람에게 발송.

<예방·대응>
개인별 발송 기능을 기본으로 설정하고, 수신자 참조 필요시에만 별도로 선택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설정.

3. 개인정보가 포함된 업무용 기기 분실 사례
개인정보 파일이 저장된 업무용 노트북 분실.

<예방·대응>
· 기기 비밀번호 설정 및 OS·디스크 암호화 기능 사용.
· usb 사용 시 암호화 USB사용 원칙, 보안교육 실시 후 usb 사용.
· 기기 원격제어 기능이 있는 경우 기기 비활성화·데이터 초기화 수행.

하단 배너 영역